리포트
□ 미국 의학전문지 바이오스페이스에 따르면, 일라이 릴리는 비만치료제 GLP-1 시장에 대한 높은 기대치에 힘입어 시가총액 1조 달러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음.
- 릴리의 시가총액은 11월에 9,900억 달러를 넘어섰는데 이는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 GSK, 머크, 노보 노디스크, 사노피, 화이자의 가치를 합친 것과 거의 같은 수준으로 릴리가 GLP-1시장을 압도적으로 장악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미국에서 처음으로 시총 1조 달러를 돌파한 기업은 2018년 애플이었으며, 제약기업으로는 처음으로 릴리가 1조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됨.
- 릴리 성장률의 효자 제품인 마운자로와 젭바운드는 미국에서 신규 환자 점유율의 70~75%를 차지하고 있으며 경구용 GLP-1 약물인 ‘오포글리프론(Orfglipron)’이 FDA의 승인을 받게 되면 세계 최초의 경구용 비만 치료제 승인 기업이라는 타이틀과 함께 3개의 치료제의 전 세계 매출이 향후 최대 1,01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음.
- 릴리의 경구용 비만 치료제인 오포글리프론이 승인되면 첫해에만 약 5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며 2026년에 젭바운드, 마운자로, 오포글리프론의 세 가지 의약품이 약 257억 달러의 수익을 올릴 것으로 전망함.
- 이는, 단순히 많이 팔릴 것을 예상했기 때문에 나온 매출액이 아니라 GLP-1 시장이 가격보다는 물량에 의해 주도되는 방향으로 전환된 환경과 승인을 앞두고 있는 오포글리프론이 제조 비용이 저렴한 소분자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릴리의 제조 역량과 규모가 시장 가격에 흔들림 없이 높은 매출액을 돌파할 수 있다라는 배경이 있기 때문임.
□ 한편, 이런 높은 매출과 시가총액을 유지하기 위해서 릴리는 향후 젭바운드와 마운자로의 특허만료에 따른 바이오시밀러와 제네릭의 위협에 대응할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과제도 안고 있음.
- 릴리의 CEO 데이브 릭스(Dave Ricks)는 특허 주기를 넘어서는 자가 부담 브랜드 비즈니스(self-pay branded business)‘라는 비전을 제시하였음.
- 이 비전에 대한 자세한 답변은 아직 나오지는 않았으나 릴리의 CEO가 인터뷰하였던 내용을 토대로 정리해 보면 많은 환자들이 비만 치료에 대한 보험 적용 부족으로 높은 가격으로 구매하고 있었으나 소비자 직접 판매 플랫폼인 ’릴리다이렉트‘를 통해 더욱 유연하게 가격을 제공하고 환자들이 릴리에 대해 갖고 있는 인지도와 충성도를 활용해 자리를 굳건히 지키겠다는 점을 유추해 볼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