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이슈 브리핑] 2030년 글로벌 매출 10대 의약품 및 기업 전망
게시일 2025.06.26
조회216

□ Evaluate의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처방약 매출액은 2024년 1조 1,460억 달러에서 연평균 7.4% 증가세로 2030년에는 1조 7,560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특히 당뇨 및 비만치료제인 GLP-1 요법은 2024년에서 2030년까지 연평균 20% 이상 증가해 2030년에는 글로벌 처방액 매출의 9%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됨.

- 당뇨병치료제 Mounjaro와 비만치료제 Zepbound로 판매되는 Eli Lilly의 tirzepatide는 2030년까지 연간 620억 달러의 매출을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됨.

- 이 가치는 오랫동안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약물로 여겨졌던 애브비의 블록버스터 휴미라(Humira)가 달성한 것보다 3배 더 큰 금액이며, 현재 최대 매출의약품인 머크의 키트루다의 2024년 매출(295억 달러)의 두 배에 달하는 금액임.

 

□ Evaluate 보고서는 GLP-1 약물의 더 넓은 범주는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판매 정점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 계열 약물이 2030년까지 베스트셀러 목록의 상위 10개 중 5개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함.

- 일라이 릴리의 마운자로(Mounjaro)와 젭바운드(Zepbound)는 2030년 가장 많이 팔린 약물과 세 번째로 많이 팔린 약물이 될 것으로 전망됨.

- 면역 염증치료제 또한 2030년 베스트셀러 10위 안에 들 것으로 예상됨. 애브비의 스카이리지(리산키주맙)와 사노피/리제네론의 듀피센트(두필루맙)는 모두 각각 25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며 매출 2위와 4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됨.

- 종양학 약물도 여전히 매출 상위 10위안에 포진할 것으로 전망됨. 2024년 매출 1위인 머크의 키트루다(펨브롤리주맙)와 존슨앤존슨/젠맙의 혈액암 치료제 다잘렉스(다라투무맙)는 각각 2030년 글로벌 매출 7위와 8위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이러한 상황에서, 릴리가 2030년 상위 10대 기업을 장악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님. 릴리의 2030년 예상 매출은 한때 거대 기업이었던 화이자나 노바티스의 두 배에 육박하며, 성장세는 모든 경쟁사를 압도할 것으로 전망됨.

- 화이자(Pfizer)는 팬데믹 기간 동안 1위를 차지했고, 2024년에 5위였으나 2030년에는 매출 상위 10대 기업 중 최하위를 차지해 10대 기업 중 유일하게 마이너스 매출성장과 가장 많은 순위 하락 기업이 될 것으로 예상됨.

- 머크도 키트루다 매출 하락 영향으로 화이자와 같이 5계단 하락해 8위로 전망되며, 노바티스도 눈에 띄는 블록버스터가 없어 하위권(9위)에 머물 것으로 예상됨.

- 반면 프랑스 사노피(Sanofi)는 GLP-1이 아닌 기업 중 "가장 인상적인" 기업으로, 듀피센트(Dupixent) 매출 상승 등으로 기업 매출이 연평균 6.6% 증가하며 2030년에 매출 상위 6위로 올라설 것으로 전망됨.